경기침체, 인플레이션 등 악재로 많은 기업은 위기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긴축재정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한돈산업은 구조적으로 생산비를 낮추기에는 한계가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 생산성 향상에 집중해야 한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표를 개선해야 하나 이번 기고문에서는 수태율을 개선하기 위한 방향에 관해 서술해보고자 한다. 1. 들어가며 연중 안정적인 수익 창출을 위해서는 수태율과 분만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하지만, 현장에서는 발정 시기 모돈의 발정 징후를 관리자의 주관적인 예측으로 교배를 진행하고 있어 작업자의 판단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정확한 배란 시기를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숙련된 관리자는 무리 없이 판단할 수 있지만 저년차 관리자에게는 어려운 기술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객관적인 수치를 통해 교배적기를 찾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고민하다가 필자가 현장에 적용해본 생체지표 측정기술을 소개하고 결과를 공유해 보고자 한다. 2. 호르몬 변화에 따른 생체 변화의 이해 발정적기 테스트 소개에 앞서 발정 시기 모돈의 징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호르몬의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발정 시기 Hormone
종종 농장에서 이유 후 발정에 문제가 있다는 연락을 받는다. 번식에 관련된 문제는 일반적으로 PRRS, PED, 인플루엔자와 같은 새로 유입된 질병이 없다면 보통 환경적, 사양관리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다. 본고에서는 농장에서 발정유도에 문제가 생길 때 차근차근 짚어보아야 할 사항을 살펴보고자 한다. 1. 도태모돈의 생식기는 과연 문제가 있을까? 모돈의 도태 기준은 농장마다 조금씩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가장 큰 이유는 무발정 및 연속된 재발, 공태와 같이 농장의 번식지표는 떨어뜨리는 모돈을 도태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그런데 이처럼 발정에 문제가 있는 모돈의 생식기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과 같이 문제가 있을까? 2020년 3월쯤 상시모돈 2,000두 규모의 대군농장에서 무발정으로 도태 계획을 잡은 모돈 40여 두의 생식기를 도체 검사를 하였다. 도태모돈의 난소는 대부분 정상적이었고, 정상 호르몬 주기를 거쳐서 난포기/황체기를 거치고 있었다. 다만 검사대상 모돈의 10%인 4두 정도에서 배출되지 못한 잔존 태아가 관찰되었다. 물론 이러한 잔존 태아로 인해 발정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분만사에서 좀 더 사양관리에 신경 써야 하겠지만, 도태모돈 난소 대부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