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축산물 소비 변화

  • 등록 2021.12.09 11:56:08
크게보기

소․돼지고기 가정 조리․간편식 늘고, 닭고기 배달 증가

축산정보뉴스 관리자 기자 |

코로나 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면서 국내산 축산물 소비에도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주 1회 이상 돼지고기를 먹는 소비자가 69.5%를 차지했고, 그 뒤를 닭고기 55.1%, 소고기 44.9%가 이었다.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 국립축산과학원은 지난 9월 1∼14일까지 전국에 거주하는 20대 이상 69세 이하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19 이후 축산물 소비 환경 변화 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발표했다.

* 1인 가구 450명, 주부 1,050명(수도권 및 특·광역시, 중소도시 이상)

 

 

 

 

조사 결과, 축산물 소비 방법*은 ‘가정 내 조리’가 돼지고기 60.3%, 소고기 50.4%, 닭고기 44%로 모두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 축산물 소비 방법 : 최근 3개월간 육류 소비 방법을 ‘가정 내 조리’, ‘가정간편식/바로요리세트’, ‘외식’, ‘배달’의 4개로 구분 후, 방법별 소비 비율의 합이 100%가 되도록 질문을 진행함

 

이 밖에 돼지고기와 소고기 소비 방법은 외식(16∼18%), 가정간편식/바로 요리 세트(12∼15%), 배달(9∼11%) 순으로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닭고기는 ‘배달’ 30.3%, ‘가정간편식/바로 요리 세트’ 13.2%, ‘외식’ 12.6%의 순으로 배달 소비 비중이 높았다.

 

지난해와 비교해 돼지고기의 경우 주 소비 방법이던 외식이 줄어들면서 수입 돼지고기의 소비가 20.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고기 소비가 증가했다는 응답은 31.9%를 차지했다.

 

응답자 가운데 한우보다 수입 소고기 소비가 증가했다는 답변이 3.4%P 높았는데,  가장 큰 이유로 ‘가격(74.7%)’을 꼽았다.

 

소고기, 돼지고기를 소비할 때 ‘가정 내 조리’와 ‘가정간편식/바로 요리 세트’ 이용이 늘었다는 응답이 많았다.

 

‘외식’ 비율은 소고기 49.3%, 돼지고기 38.7% 각각 감소했다고 답했다으며, 닭고기 소비 방법으로 ‘배달’ 이용이 늘었다는 응답은 42.3%에 달했다.

 

코로나 19로 인해 축산물 구매 장소가 바뀌었다는 응답이 18.7%였으며, 인터넷 구매가 많이 증가(49.8%)한 대신 백화점 구매는 감소(19.2%)했다.

안영태 기자 cheers2003@naver.com
Copyright @축산정보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0길 18, 2층(부봉빌딩) 등록번호 : 강남,라01010 | 등록일 : 2021년 4월 22일 | 발행·편집인 : 안영태 | 전화번호 : 02-501-9971 Copyright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